티스토리 뷰
꽃으로 덮인 창덕궁 후원과 애띤 연두빛 풀로 덮인 창덕궁 후원, 물줄기가 시원한 창덕궁 후원을 한꺼번에 본다면 정말 아름다운 봄풍경을 눈에 담아올 수 있겠지만 아쉽게도 올 봄에 그런 풍경은 존재하지 않았습니다. 올 초봄의 이상 고온으로 꽃들은 순식간에 피어버리더니, 한순간에 힘이다하듯 져버렸고 비는 그다지 많이 오지 않았지요. 이상적인 기온이 찾아와 연두빛의 잎과 꽃이 함께 자리하고, 비가 제법 와서 옥류천에 넉넉한 수량의 물이 흐르는 시간은 아마 앞으로는 구경하기 힘들지도 모릅니다. 온난화 되어가는 이 세상에서는요.
그렇다 하더라도 봄, 새순이 돋아나고 잎이 아직 진한 여름색을 띠기 전의 왕족들과 측근들만 거닐었다는 금원의 경치는 필히 감상하실만 합니다. 저에게 창덕궁 후원을 언제 보겠느냐고 기회를 준다면 가을 단풍이 한창일 때가 첫째이고, 지금 연두빛이 낭창한 봄철이 그 다음입니다.
한때는 비원이라고 불렸었지요. 지금도 영문명으로는 Secret Garden이라고 되어 있지만 정식 명칭은 창덕궁 후원입니다. 입장 제한으로 한번에 100명씩, 하루에 900명(외국인 제외)만 들어갈 수 있기 때문에 휴일에는 늦게가면 표가 매진되어버리는 경우가 많습니다. 관람료 또한 궁궐 관람료중 가장 비싼 5,000원인데 반드시 안내원이 동행하기 때문에 그렇습니다. (물론 가끔 특별관람이라고 해서, 자유관람을 허가해준 적도 있습니다.) 제가 간 날도 이미 마감이었는데, 마침 취소하는 사람이 있어서 들어갈 수 있었습니다.
창덕궁과 창경궁 사이의 담장길을 따라 올라갑니다.
후원의 넓이는 대략 15만평입니다. 자연지형에 맞추어 산자락 모양을 해치지 않고 만들어졌죠. 그래서 궁궐 답지 않게 높낮이가 일정지 않고 산자락을 따라 오르내려야 합니다.
영화당은 신발을 벗고 올라갈 수 있습니다. 영화당에서 부용지를 바라보면 인공섬에 심어진 소나무가 참으로 멋스럽게 보입니다. 다만 창덕궁 후원의 수량이 점점 적어져서 물을 흐르게 할 수 없기에 물이 더러운 것은 아쉽습니다. 예전에는 여기서 배를 띄우고 놀았다고 하더군요. 섬 왼쪽에 있는 정자가 부용정이고, 섬 뒤로 보이는 작은 전각이 '사정기비각'입니다. 이 부근 어디에 우물을 만들었는데 그걸 기념하고 비를 세우고, 그 비를 보호하기 위해 비각을 건립했다고 하는군요. 조선시대 건축은 하나같이 풍수와 도교사상의 영향을 받았는데, 부용지 모습도 그렇습니다. 천원지방(하늘은 둥글고 땅은 네모나다!)라는 사상을 보여줍니다. 왕들이 배를 타고 즐기는 연못이 네모진 땅을 의미하고, 올라기지 못하게 나무와 화초를 가득심은 섬이 둥근 하늘, 신선이 노니는 세상을 의미합니다.
주합루로 올라가는 문입니다. 어수문이라는 이름이 붙어 있습니다.
주합루 앞의 '화계(꽃계단'입니다. 낙선재 뒤의 화계의 꽃이 이미 저버렸다면 이 곳은 산그늘에 위치해있어 서늘해서 인지 아직 꽃이 활짝 피어있습니다. 산그늘에 핀 꽃잎이 곱기도 하지요. 여기서 또 독특한 화계의 모습의 하나를 보시게 되는데 바로 취병입니다. 푸른 병풍이라는 의미인데, 대나무로 틀을 짜고 신우대라는 여러해살이 식물을 심어서 만든 담입니다. 예전 궁궐모습을 담은 그림인 동궐도에 주합루 앞에 취병이 꾸며져 있어 이를 재현한 것이지요.
창덕궁의 모습을 그린 '동궐도'의 일부입니다. 왼쪽 아래 있는게 부용지, 예전에는 섬이 좀 호수 가운데 있었네요. 뱃놀이를 하는 그림이 있고, 주변에 심어진 꽃나무가 눈에 띕니다. 주합루 앞에 길게 담처럼 있는게 바로 취병입니다. 그걸 재현한 것이지요. 그런데.. 예전에는 이쪽에 나무가 좀 적었던 듯 하네요. 오른쪽에 보이는 게 영화당, 그리고 오른쪽 너른 평지가 춘당대입니다. 활쏘기를 하고 멀리 춘당지까지 볼 수 있게 되어 있네요. 지금은 나무와 담이 있어서 옛모습이 아닙니다.
부용지 한가운데 있는 섬의 모습입니다. 이 섬도 동궐도에는 없는데 언제 만들어진 것인지.
사진에 있는 문은 연경당 정문인 '장락문'인데 도교에서 신선이 산다는 '장락궁'을 따온 것입니다. 잘 보이지 않지만, 위 사진 중간쯤에 장락문으로 들어가기 위해서는 작은 개울 하나를 건너야 합니다. 그 개울 이름이 '명당수'인데 서쪽에서 들어와 동쪽으로 흘러갑니다. 풍수사상에서, 본류(한강)는 동쪽에서 들어와 서쪽으로 흘러야하며 지류는 반대여야 하는 개념을 보여줍니다. 그리고, 이 명당수가 위치상 신선이 뱃놀이하는 '은하수'를 상징합니다.
사진은 찍지 못했지만 장락문 바깥에는 오래묵은 느티나무가 있고, 주변에 석물들이 몇몇 있습니다. 석물에는 두꺼비와 토끼가 조각되어 있는데, 이 상징이 장락문과 어울리면서 연경당을 '달에 있는 신선이 사는 궁궐'로 만들어 줍니다. 토끼는 오래전부터 달에서 절구를 찧고 있었구요 두꺼비가 달과 관계가 있다는 걸 아시는 분은 적으실텐데, 방금 검색해서 찾은 지식을 풀어보자면아는척을 해보자면 전한 시대의 학자 유향이 지은 오경통의는 중국의 허무맹랑한 신화, 풍설을 전하고 있는데 달에는 두꺼비가 있다고 하고 그 이유를 다음과 같이 적고 있습니다.
태초의 회화는 태양 열을 낳았고, 동쪽 바다에 살면서 열개의 태양 형제를 하나씩 하늘로 올려보냈다. 차례를 기다리는 게 불만이었던 태양들은 어느날 동시에 하늘로 뜨고 말았는데, 열 개의 태양이 일제히 내리쬐는 햇살에 땅은 불덩이가 되었다. 이에 천제는 명궁 '예'를 불러 해를 쏘아 떨어뜨리도록 하였다. 지상을 구한 공으로 예는 '불로불사약'을 하사받았으나 그의 아내 항아가 이를 훔쳐먹고 월궁으로 날랐다. (마누라에게 잘해줘봐야 훔쳐서 튈거라는 사상은 이후 동양에 대대로 전수되어 한국에는 아들 셋 낳기 전까지 마누라에게 좋은 옷을 사주지 말라는 선녀와 나무꾼에 이르기 까지 구구이 반영되고 있다. 이는 공자를 비롯한 많은 당시 유학자들이 여성에게 인기가 없었기 때문에 생긴 안타까운 현상이 아닐까 한다. 하긴 여성에게 인기가 있는데 왜 유학 따위를 공부했겠는가?) 천제는 몹시 분노하여 항아를 두꺼비라이제이션시켰고, 그리하여 두꺼비는 달을 상징하게 되었다.
뭐 그러한 이야기입니다. 어쨌든 장락문이라는 이름과 앞의 명당수, 토끼, 두꺼비같은 석물을 만들어서 '글줄 좀 읽으신 분이면 이 집의 개념이 이러이러 하오니 좀 알아차려 줍시오.'라고 광고를 하고 있는 셈입니다. 뭐... 그런거지요. 어찌보면 풍류요, 어찌보면 글줄 좀 읽었냐? 라고 물어보는 듯한 도전적인 집꾸밈입니다.
소요암에는 조선시대 최강 무능한 왕인 인조시대에 '옥류천'이 만들어졌고, 후에 숙종(나름 똑똑했는데 한일은 없는 무능한 왕이었죠)이 쓴 시구가 세겨져 있습니다.
飛流三百尺 (비류삼백척) 폭포는 삼백척인데
遙落九天來 (요락구천래) 멀리 구천에서 내리며
看是白虹起 (간시백홍기) 보고 있으면 흰 무지개 일고
飜成萬壑雷 (번성만학뢰) 골짜기 마다 우레 소리 가득 하네.
비류삼백척이라는 말은 이태백이 지은 시, 망여산폭포의 '비류직하삼천척'에서 따온 구절입니다. 소요암을 하나의 바위가 아닌 '산'으로 생각하고 여산폭포가 삼천척이니 이 폭포는 삼백척쯤 되겠지라는 심상을 노래한 것이지요. 다음 구절도 역시 망여산 폭포의 구절, '하늘에서 은하수 쏟아져 내리는 듯 하다.'에서 컨닝한 것으로 의심되는 구절입니다. 뭐 이쯤 하지요. 제가 숙종이라는 인물을 참 마뜩치 않아하는터라... 점수가 짜네요.
'발걸음대로 > 서울에서 살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국립박물관, 신안해저선에서 찾아낸 것들 전시회 - 한국에서 이런 수준의 전시회가? (0) | 2016.08.22 |
---|---|
서울, 걷기 좋은 길 봄, 인왕산을 넘어보자 (0) | 2016.04.21 |
명동 길거리 음식들 - 2. 후식 및 달달이들 (0) | 2015.11.30 |
명동 길거리 음식들 - 1. 탄수화물+단백질 먹거리 (4) | 2015.11.27 |
봄, 낙선재 화계(花階)의 정취 (1) | 2014.04.30 |
동대문 디자인 플라자 (DDP) 방문기[2/4] - 외관 (0) | 2014.03.27 |
동대문 디자인 플라자 (DDP) 방문기 - [1/4] 홈페이지에서 노출되는 빈곤한 철학 (0) | 2014.03.26 |
달밤에 남산 산책 (0) | 2013.09.26 |
[도서관시리즈] 1. 현대카드 디자인 라이브러리(2/2) (0) | 2013.06.03 |
[도서관시리즈] 1. 현대카드 디자인 라이브러리(1/2) (0) | 2013.06.03 |
- Total
- Today
- Yesterday
- 유학
- 엘에이
- austin
- 오스틴
- 가로수길
- 패션
- 텍사스
- 와인
- 자사호
- LA
- 로스엔젤레스
- 삼겹살
- 하몽
- 마이애미 비치
- Texas
- MBA
- 사우스 비치
- 세계
- 로스 엔젤레스
- McCombs
- 마이애미
- 샌프란시스코
- Los Angeles
- 유학생활
- 피자
- 미국
- 여행
- 최고의
- 돼지고기
- 이베리코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